WalkingBo의 걷는 정보

파이썬 기초 - 함수 본문

IT/파이썬 및 장고

파이썬 기초 - 함수

walkingbo 2020. 6. 4. 09:47

함수란 무엇인가?

흔히 우리가 수학 시간에 배웠던 함수 중 간단한 형태는 y = x + 3 이런 것이 있었습니다. x값에 어떤 것을 넣느냐에 따라 y 값이 결정된 형태입니다. 이처럼 함수는 문장으로 표현하면 어떤 값을 넣었을 때 어떤 결과의 형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의 함수는 그럼 어떠할까요?

 

파이썬을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반복되는 형태를 볼 수 있고 이를 함수화 시키면 함수를 불러서 사용하게 되면 여러 번 길게 작성할 필요도 없어지고 코드의 가독성도 올라갑니다.

 

파이썬 함수의 구조

 

def 함수명(매개변수):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def의 경우 예약어 입니다.

 

파이썬 함수의 예시 1

 

def add(a,b):

   return a + b

 

c = add(3,5)

print(c)

 

==> 8 이라는 결과 값이 나옵니다.

 

파이썬 함수의 예시 2

 

def nameprinter(x):

    print("제 이름은 {0} 입니다.".format(x))

 

x="walkingbo"

nameprinter(x)

 

==>  제이름은 walkingbo 입니다. 라는 결과 값이 나옵니다.

 

만약 위의 함수처럼 c = nameprinter(x) , print(c)를 하면 값이 어떻게 출력이 될까?

정답은 None 입니다. nameprinter(x)는 돌려주는 결과값이 없기 때문에 c 에 저장되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None이 출력됩니다. 

결과값을 제시하는 것은 return 뿐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매개변수와 결과 값에 대한 좀 더 깊은 내용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IT > 파이썬 및 장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 입출력(input)  (0) 2020.06.16
파이썬 기초 - 함수 2  (0) 2020.06.09
파이썬 제어문 - for문  (0) 2020.06.02
파이썬 제어문 - while  (0) 2020.05.27
파이썬 제어문 - if  (0) 2020.05.2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