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kingBo의 걷는 정보

드림호스트 서브도메인 추가하기 본문

IT/웹

드림호스트 서브도메인 추가하기

walkingbo 2020. 2. 19. 12:31
  • 이전 포스트에서는 드림 호스트를 이용해서 자신이 만든 사이트를 웹 호스팅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이번에는 현재 티스토리의 주소 방식처럼 서브 도메인을 추가해보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서브 도메인을 설명하면서, 앞서 도메인에 대해도 잠깐 설명을 드리며 시작하겠습니다.

1. 도메인(Domain)이란?

 

 - 도메인 이란 문자로 표시한 인터넷 주소입니다.  인터넷 주소는 원래 IP로 표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42.342.344 있습니다. 이렇게 긴 IP는 사람들이 기억하기 어렸습니다.

 

 - 그래서 기억하기 어려운 IP를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로 바꾼 것이 도메인(Domain)입니다.

 

 - 예를 들어서, 우리가 전화를 할 때, 핸드폰 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화를 걸 수 도 있고, 연락처에서 이름을 찾아서 눌러서 전화를 걸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전화번호는 IP를 이름은 도메인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한 문장으로 줄이자면, 도메인은 기억하기 쉽게 만든 주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을 등록하는 방법은 앞선 포스팅들을 참고해주시고 대략적으로 가격은 .com의 경우 1년 사용료가 보통 $8정도 였고, .io의 경우의 약 $25 정도 하였습니다.

 

 - 하나의 썰을 드리자면, .io의 경우 가격이 비싼 이유는 in/out의 줄임말로 스타트업의 붐일 때, 많은 스타트업 기업들이 여기에 대한 수요가 커서 가격이 올랐다고 합니다. 

 

2. 서브 도메인(Sub Domain) 이란?

 

 - 서브 도메인은 도메인의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도메인을 구입한 경우, 보통은 서브 도메인의 생성을 무료입니다. 일부 업체의 경우 유료인 곳도 있다고 합니다. 

 - 서브 도메인의 예시를 들면 바로 다음과 같습니다. blog.naver.com, cafe.daum.net 등이 있습니다. 물론 티스토리도 이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3. 드림 호스트 서브 도메인 추가하기 

 

1) 드림호스트 로그인 - 도메인 관리로 이동

 

 - 서브 도메인을 추가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기존의 fullyhosted 된 도메인에 서브도메인을 만들어서 같은 도메인 IP를 사용하는 방법과 수동으로 다른 IP를 입력해서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IP를 직접 입력하여 사용하는 방법

 

 - 서브 도메인을 만들고자 하는 도메인의 DNS를 클릭

 

 - add a custom DNS record로 이동

 

 - 서브 도메인의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 type을 선택해 줍니다. 기본적으로 A로 설정되어있으나 목적에 맞게 선택 가능합니다. A타입과 CNAME타입 분류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Value(값)에 목적지 IP주소를 넣어서 설정할 거라면 A타입을, Value에 목적지로 URL(링크 주소)을 넣어 설정하려면 CNAME을 택하면 되는 겁니다.

 

 - 모든 것을 입력 후 add record now를 누르시면 됩니다. 

3) fullyhosted 된 도메인에 자동으로 추가하기 

 

 - 도메인 관리 화면에서 add hosting to domain/ subdomain을 클릭합니다. 

 

 -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서브도메인으로 할 주소를 입력해 준 후 3번째 remove www. make를 선택하신 후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 완료가 되면 도메인 밑에 서브도메인이 생기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도메인이 없다면 만들어지지 않으니 먼저 도메인을 만드신 후 하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서브도메인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Comments